뇌전증 전조증상, 간질 증상
오늘 알아볼 내용은 '뇌전증'에 대해서 입니다.
뇌전증 보다는 간질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잇는데요.
둘은 같은 말 입니다.
간질이라는 이름으로 사회적 인식이 좋지 않아 뇌전증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얻게 됐다고하네요.
오늘 저와 함께 뇌전증, 간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●뇌전증(간질)이란?
뇌전증이란 사지 경련, 언어장애, 의식 변화와 같은 발작 증상이 계속해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.
이는 뇌세포에서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가 발생하면서 뇌 기능에 전반적인 이상이 생기는 것이지요.
요즘에는 치료 방법이 많이 발전해서 뇌전증(간질)을 앓고 있어도 불편함 없이 생활할 수 있습니다.
●뇌전증 전조증상, 간질 전조증상, 증상
뇌전증(간질) 발작이 나타나기 전에 전조증상이 먼저 발생하는데요.
- 섬광
- 이상한 냄새가 나는 느낌
- 손발 저림
- 윗배(상복부) 불쾌감
- 어지러움
- 무서운 느낌
위와 같은 전조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.
그리고 나서 본격적인 증상이 나타나는데요. 바로 발작입니다. 이런 발작은 빈도와 지속시간, 정도는 사람에 따라서 다 다른데요. 나이가 들면서 증상이 변하기도 합니다.
- 전신성 경련 발작(대발작): 의식을 잃음, 전신이 굳음, 심한 경련, 호흡이 가빠지고 심하면 멈춤
- 전신성 비 경련 발작(소발작): 소아에게 주로 발생, 하던 행동을 멈추고 멍해짐, 눈을 깜빡임, 손 떨림 증상
- 부분성 발작: 신체 일부가 저림, 의미 없는 행동을 반복
뇌전증(간질)이 일어나는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는데요.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, 뇌전증(간질)의 원인은 연령별에 따라서 조금씩 다릅니다.
- 영아기: 출산 전후로 뇌 손상, 선천적인 기형, 대사질환
- 유아기: 뇌염, 뇌성마비, 출산 시 뇌 손상, 감염, 열성 경련
- 청소년기: 외상, 감염, 특발성 질환, 출산 시 뇌 손상
- 청년기: 감염, 외상, 종양, 특발성 질환, 뇌졸중, 알코올 중독
- 노년기: 뇌졸중, 외상, 종양
●뇌전증(간질) 예방 방법, 치료 방법
뇌전증(간질)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대비해 체력을 길려 두는 것이 좋습니다. 가벼운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이 좋으며, 매일 20~30분 정도 걷기 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치료는 약물 치료를 주로 진행하는데요. 대부분의 환자는 항경련제로 증상 조절이 가능합니다. 또 약을 중단해도 재발하지 않게 되지요. 만약 약물 치료가 차도가 없다면 수술적 치료를 권장합니다.
-
![]() |
내용 확인 클릭 |
![]() |
내용 확인 클릭 |
![]() |
내용 확인 클릭 |